취업난 속 "졸업유예" 폐지에 학생들 반발
1월5일이화여대는 2015년 1학기부터 정규학기인 8학기 이상을 등록하고,
정해진 학점을 모두 취득한 학생에게 "학사학위 수료"를 인정하는 "과정 수료제"를 신성하는 학칙개정안을 지난달 말에 공고했다네요.
이대는 그 동안 졸업논문을 내지 않거나, 채플을 이수하지 않는 등이 방식으로 추가 학점을 등록하지 않고도, 재학생 신분으로 졸업을 미뤄왔는데, 최근 몇년 새 취업난 때문에 장기 취업 준비생이 늘어나면서 학생들이 0학점 등록으로 졸업을 미루는 것이 흔한 풍경이 되었다네요.
하지만 "과정수수료제"가 도입이 되면은 최소 학점을 채운 학생은 졸업을 미루고 싶어도 더 이상 재학생 신분을 유지할수 없게 되고, 수료생이 되지 않으려면은 등록금의 1/6이상을 내야하고, 1학점 이상 추가 등록해서 수업을 들어야 한다네요.
재학생 자격을 유지하려면은 "등록금"을 더 내야하고, 구직 서류에 재학생이 아닌 수료생으로 기재되어 "취업 못한 무능력자"라는 공개적으로 딱지를 붙히는 셈이라고 하네요.
기업 주최의 각종 공모전이나 인턴제도 등은 대부분 재학생만을 대상으로 하기에 "수료생"은 지원을 할수 없다네요.
학교 측에서는 이 같은 의견을 뒤늦게 수렴해서 취업/진학 등에 필요한 증빙을 위해 "재학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했고, 도서관 이용 등도 재학생과 같은 기준을 적용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서울시내 다른 사립대들도 "졸업유예"제도를 없애는 방안을 추진하며 학생들과 마찰을 빛고 있다네요,
건국대는 졸업 유예를 하려면 1학점 이상 수강신청하고, 등록금을 내야 한다고 합니다. 이 내용을 학칙으로 개정해서 새학기부터 적용예정이라네요.
서강대는 영어성적을 필수적으로 제출해야 졸업장을 줬으나, 일부러 성적표를 안내고 졸업을 미루는 학생들이 늘어나 "영어성적"제출을 졸업요건에서 없앴다고 합니다.
'일상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송장에 물품 가격 표시 않으면 50만원 이상 보상받기 어려워 (0) | 2014.12.27 |
---|